티스토리 뷰
수능만점
.news.naver.com .news.naver.com ?만약 수능 원점수 400점 만점을 받은 수험생이 다수있다면 원점수 400점 만점을 받더라도 탐구 백분위에 의해 전국 석차가 2
300등으로 밀리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A, B수험생 두 명의 수능성적이 다음과 같다면A수험생 :원점수 국어100, 수학100, 영어100, 사탐50, 사탐50 (사탐 백분위 98, 98)B수험생 :원점수 국수영 원점수 합 296에 사탐50, 사탐50 (사탐 백분위 100, 100) A수험생은 사탐 백분위 98에 대한 (백분위)변환표준점수에서 (백분위 100에 대한 표준점수 최고점 대비) 2점씩 마이너스, 합 4점이 마이너스입니다.
B수험생은 국수영에서 표준점수 최고점 대비 합 4점 마이너스입니다.
따라서 A수험생과 B수험생은 표준점수 합이 동일하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 표준점수 증발에 의해 국수영 원점수 296점이 표준점수 최고점 대비 3점 마이너스가 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엔 B수험생이 A수험생보다 표준점수 합이 오히려 높아지게 됩니다.
?물론 상위권 대학의 경우 정시모집에서 사탐영역의 반영비가 낮기에 일반적으로 A수험생이 대입에선 유리하겠지만 어찌되었든 사탐영역 백분위가 낮다면 타 수험생에 비하여 큰 핸디캡을 갖게 될 수 있읍니다.
상위권 대학에서 2013년 정시모집에 적용했던 사탐영역 (백분위)변환표준점수를 첨부합니다.
1992년 마지막 학력고사에서 민세훈씨는 339점으로 만점을 놓쳤다.
민씨는 서울대 법대에 수석 합격했다.
그해 300점을 넘긴 수험생이 예년 열 배 가까운 3만여명이었다.
난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320점대로도 명문대 인기 학과에 떨어진 학생이 숱했다.
대입 수능시험은 1993년 200점 만점으로 시작했다.
첫해엔 두 차례 수능 후 본고사를 봤다.
2차 수능이 너무 어려워 1차를 잘 치른 수험생이 유리하게 돼 불만이 터져 나왔다.
입시 때 혼나고 외환 위기 때 직장을 구해야 했던 94학번들은 스스로 '저주받은 세대'라고 부른다.
수능 만점은 96년 400점으로 바뀌었다.
98년에 나온 첫 만점자는 서울대 물리학과에 간 오승은씨였다.
과목별 정리 노트를 출간하며 연예인 못지않은 관심을 끌었다.
가장 쉬웠던 입시 시험이라는 2000년 수능에선 만점자가 66명이나 나왔다.
58명이 서울대 특차에 지원했고 한 명이 서울대 법대에 낙방했다.
내신이 안 좋았다고 한다.
만점자도 떨어지는 이상한 시험이라는 얘기가 돌았다.
이듬해 시험은 너무 어렵게 출제됐다.
'물수능 다음해는 불수능'이라는 경험법칙이 생겼다.
올해 서울대 정시 모집에서 자연계 유일하게 만점을 받은 전 모씨가 서울대 의예과에 떨어졌다.
[수능만점] 전략은 무엇이었길레
수능 60%, 면접 30%, 학생부 10%씩 반영했기 때문이다.
전씨는 인터넷에 글을 올려 네티즌들의 위로와 격려를 받았다.
'저보다 훨씬 더 인품 좋은 사람들이 의료계에 많이 왔다는 것을 뜻할 수 있으니 한편으로 좋기도 하네요.' 전씨는 수능 점수만으로 심사하는 다른 대학 의예과에 합격했다고 한다.
2000년 고려대 특수재능보유자 전형에서 토플 만점을 받은 수험생이 면접에서 0점을 받아 낙방했다.
수험생 아버지가 불합격이 부당하다며 가처분신청을 냈다.
재판부는 "무엇이든 하나만 잘하면 대학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기각했다.
서울대 의예과가 수능 만점자를 떨어뜨린 것은 '시험 점수가 모든 것을 말하지 않는다'는 얘기인 셈이다.
최고 득점자가 공식처럼 으레 어느 대학, 어느 과에 가던 것을 생각하면 새롭기도 하다.
한편으론 200여개 대학 전형 방법이 3000개를 넘는 현실도 돌아보게 된다.
수시·정시 모집에 대학마다 계열마다 수능·면접·학생부 반영 비율이 제각각이다.
누구나 쉽게 납득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자료: 조선>?만약 수능 원점수 400점 만점을 받은 수험생이 다수있다면 원점수 400점 만점을 받더라도 탐구 백분위에 의해 전국 석차가 2
300등으로 밀리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A, B수험생 두 명의 수능성적이 다음과 같다면A수험생 :원점수 국어100, 수학100, 영어100, 사탐50, 사탐50 (사탐 백분위 98, 98)B수험생 :원점수 국수영 원점수 합 296에 사탐50, 사탐50 (사탐 백분위 100, 100) A수험생은 사탐 백분위 98에 대한 (백분위)변환표준점수에서 (백분위 100에 대한 표준점수 최고점 대비) 2점씩 마이너스, 합 4점이 마이너스입니다.
B수험생은 국수영에서 표준점수 최고점 대비 합 4점 마이너스입니다.
[수능만점] 보면 볼수록..
따라서 A수험생과 B수험생은 표준점수 합이 동일하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 표준점수 증발에 의해 국수영 원점수 296점이 표준점수 최고점 대비 3점 마이너스가 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엔 B수험생이 A수험생보다 표준점수 합이 오히려 높아지게 됩니다.
?물론 상위권 대학의 경우 정시모집에서 사탐영역의 반영비가 낮기에 일반적으로 A수험생이 대입에선 유리하겠지만 어찌되었든 사탐영역 백분위가 낮다면 타 수험생에 비하여 큰 핸디캡을 갖게 될 수 있읍니다.
상위권 대학에서 2013년 정시모집에 적용했던 사탐영역 (백분위)변환표준점수를 첨부합니다.
1992년 마지막 학력고사에서 민세훈씨는 339점으로 만점을 놓쳤다.
민씨는 서울대 법대에 수석 합격했다.
그해 300점을 넘긴 수험생이 예년 열 배 가까운 3만여명이었다.
난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320점대로도 명문대 인기 학과에 떨어진 학생이 숱했다.
대입 수능시험은 1993년 200점 만점으로 시작했다.
첫해엔 두 차례 수능 후 본고사를 봤다.
2차 수능이 너무 어려워 1차를 잘 치른 수험생이 유리하게 돼 불만이 터져 나왔다.
입시 때 혼나고 외환 위기 때 직장을 구해야 했던 94학번들은 스스로 '저주받은 세대'라고 부른다.
수능 만점은 96년 400점으로 바뀌었다.
98년에 나온 첫 만점자는 서울대 물리학과에 간 오승은씨였다.
과목별 정리 노트를 출간하며 연예인 못지않은 관심을 끌었다.
가장 쉬웠던 입시 시험이라는 2000년 수능에선 만점자가 66명이나 나왔다.
58명이 서울대 특차에 지원했고 한 명이 서울대 법대에 낙방했다.
내신이 안 좋았다고 한다.
만점자도 떨어지는 이상한 시험이라는 얘기가 돌았다.
이듬해 시험은 너무 어렵게 출제됐다.
'물수능 다음해는 불수능'이라는 경험법칙이 생겼다.
올해 서울대 정시 모집에서 자연계 유일하게 만점을 받은 전 모씨가 서울대 의예과에 떨어졌다.
수능 60%, 면접 30%, 학생부 10%씩 반영했기 때문이다.
전씨는 인터넷에 글을 올려 네티즌들의 위로와 격려를 받았다.
'저보다 훨씬 더 인품 좋은 사람들이 의료계에 많이 왔다는 것을 뜻할 수 있으니 한편으로 좋기도 하네요.' 전씨는 수능 점수만으로 심사하는 다른 대학 의예과에 합격했다고 한다.
2000년 고려대 특수재능보유자 전형에서 토플 만점을 받은 수험생이 면접에서 0점을 받아 낙방했다.
수험생 아버지가 불합격이 부당하다며 가처분신청을 냈다.
재판부는 "무엇이든 하나만 잘하면 대학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기각했다.
서울대 의예과가 수능 만점자를 떨어뜨린 것은 '시험 점수가 모든 것을 말하지 않는다'는 얘기인 셈이다.
최고 득점자가 공식처럼 으레 어느 대학, 어느 과에 가던 것을 생각하면 새롭기도 하다.
한편으론 200여개 대학 전형 방법이 3000개를 넘는 현실도 돌아보게 된다.
수시·정시 모집에 대학마다 계열마다 수능·면접·학생부 반영 비율이 제각각이다.
누구나 쉽게 납득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자료: 조선>영역별로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1등급 컷)는 ▲국어A형 130점 ▲국어B형 129점 ▲수학A형 136점 ▲수학B형은 124점 ▲영어 130점이었다.
영역별 만점자는 ▲국어A형 0.80% ▲국어B형 0.30% ▲수학A형 0.31% ▲수학B형 1.66% ▲영어 0.48%로 국어B형을 제외하고 지난해보다 감소했다.
특히 수학과 영어의 경우 지난해 만점자 비율이 각각 수학A·B형 2.54%·4.3%, 영어 3.37%였던 것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만점자를 인원수로 보면 국어A형 2198명, 국어B형 931명, 수학A형 1206명, 수학B형 2590명, 영어 2709명이다.
사회탐구 영역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은 생활과 윤리 64점, 윤리와 사상 67점, 한국사 63점, 한국지리 64점, 세계지리 63점, 동아시아사 68점, 세계사 64점, 법과정치 66점, 경제 69점, 사회·문화 67점으로 집계됐다.
과학탐구영역은 물리Ⅰ 72점, 화학Ⅰ 67점, 생명과학Ⅰ 76점, 지구과학Ⅰ 72점, 물리Ⅱ 63점, 화학Ⅱ 68점, 생명과학 Ⅱ 65점, 지구 과학Ⅱ 64점의 표준점수 최고점을 보였다.
'사랑하는 사람들의 세상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순성 경찰관] 세상에. 왜.. (0) | 2016.12.09 |
---|---|
[제일기획사장] 그것을 알려줍니다. (0) | 2016.12.09 |
[수능만점] 세상에. 왜.. (0) | 2016.12.09 |
[김해 화재] 의 매력 포인트 (0) | 2016.12.09 |
[한미약품] 분석을 해보면 (0) | 2016.12.09 |
[김재열 사장] (0) | 2016.12.09 |
공유하기 링크
- TAG
- 10일 촛불집회, 1234567, 5명 불참, 9일 탄핵 표결 시간, CNN, jTBC, jtbc 뉴스룸, jtbc 뉴스룸 시청률, jtbc 뉴스룸 심수미기자, jtbc 심수미 기자, jtbc 태블릿 입수 경로, jtbc 특집토론, SRT, srt 개통, srt 고속철도, srt 고속철도 좌석, TBS교통방송, 가결, 가결 뜻, 가결의 뜻, 강일원 헌법재판관, 강일원재판관, 계좌통합관리 서비스, 고발뉴스, 고영태 심수미 기자, 고영태 위증, 국회 탄핵 표결 시간, 국회 해산 요건, 국회앞 시위, 권성동, 권성동의원, 권오준 포스코회장, 김경진 의원, 김경진 의원 질의, 김경진 의원 청문회, 김관영, 김영우 의원, 김종대, 김평일, 김현웅, 김홍신, 노무현 탄핵 결과, 노무현 탄핵 이유, 노무현 탄핵이유, 노유진의 정치카페, 뉴스룸 유시민, 도깨비 김소현, 동현배, 롤 올스타전, 리니지 레드나이츠, 만장, 맨유, 미세먼지, 바버렛츠, 박근혜 탄핵, 박사모, 박사모 할복단, 박종찬, 보금자리론, 상정, 샤이, 샤이 반대, 서영은, 서지혜, 서청원 의원, 손석희, 손석희 뉴스룸, 솔로몬제도, 송영길 변기, 송영길변기, 수능만점, 수서역 ktx, 슈퍼스타k 2016, 심수미 기자, 심수미 기자 태블릿PC, 썰전, 썰전 김경진 의원, 썰전 유시민 전원책, 썰전 전원책, 아산 다가구 주택 불, 아이린, 알리, 암흑물질, 어카운트 인포, 어카운트 인포 홈페이지, 어카운트인포, 여당, 여명숙, 오늘날씨, 유로파리그, 유로파리그 순위, 유시민, 윤해영, 이규혁 장시호, 이병석 국회의원, 이상호 기자, 이상호 기자 국회 카메라, 이상호기자, 이우현, 이정현, 이정현 장 지진다, 이정현 장 지진다 패러디, 인생술집, 일왕 생일파티, 장시호, 장제원, 전교조, 전국 날씨, 전원책 이재명, 전원책 표창원, 전현희, 정갑윤 국회의원, 정세균, 정정아, 조대환 민정수석, 조대환 변호사, 조진웅, 조훈현, 주식갤러리, 중부고속도로 사고, 중부내륙고속도로 사고, 직무정지, 차준환, 청와대 전 조리장, 최경환, 최경환 의원, 추미애, 추미애 노무현 탄핵이유, 클럽 월드컵, 탄핵 가결, 탄핵 무효표, 탄핵 방송, 탄핵 불참, 탄핵 생중계, 탄핵 외신, 탄핵 외신반응, 탄핵 표결 시간, 태블릿 PC, 태블릿 pc 입수경위, 푸른 바다의 전설, 푸른바다의 전설 8회, 푸른바다의전설, 풍찬노숙, 필리버스터, 하태경 의원, 한선교, 헌법재판소, 헌재 판결, 현미, 홍만표 변호사, 황교안, 황교안 국무총리, 황영철 국회의원, 황영철 의원, 황혼이혼, 휴면계좌 조회
댓글
공지사항
- Total
- 335,515
- Today
- 23
- Yesterday
- 178
링크
TAG
- 김정은
- 박보검
- 코레일
- 기상청
- 라이브스코어
- 오늘의 운세
- 그것이 알고싶다
- 두테르테
- 나혼자산다
- 몬스터
- 손연재
- 조응천
- 큐넷
- 런닝맨
- is
- 손흥민
- 정유라
- 오늘날씨
- 저 하늘에 태양이
- 추미애
- 썰전
- 무한도전
- 김유정
- 이선빈
- 트럼프
- 우병우
- 해피투게더
- 구르미그린달빛
- 미세먼지
- 코스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